변수 생성 관점에서의 차이

Java는 python과 달린 선언과 초기화 작업이 나눠진다.

 1
 2
 3
 4
 5
 6
 7
 8
 9
10
11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변수 선언
        int a;

        // 변수 초기화
        a = 1;
    }
}

하지만 파이썬은 다음과 같이 동시에 진행된다.

(놀라지 마세요. 변수 사용하는데 필요한 모든 걸 다 작성했습니다.)

1
a = 1

하지만 메모리 관점에서 보면 매커니즘은 다르다.

자바는 선언한 데이터 타입에 맞는 데이터 크기만큼 메모리에 a라는 자리를 만든 후, 이 a라는 자리에 1을 담는다.

하지만 파이썬은 1이라는 정수 객체를 생성한 후, a 변수가 이 객체를 가리키도록 한다.

자바는 특정 이름을 가진 그릇을 먼저 만든 후 값을 담는다면 파이썬은 먼저 만들어진 값을 가진 그릇에 특정 이름으로 라벨링한다는 그림이다. [TIL] Python basic 40: Call by object reference을 참고하자.


초기화 작업이 필요한 이유?

그러면 왜 초기화 작업이 필요할까?

변수 초기화를 해야하는 이유는 변수를 선언한 메모리 위치에 ‘의미 없는 그리고 의도하지 않는 값’이 담겨진다. 그래서 이상한 값이 출력될 수 있다. 이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 자바는 변수 초기화를 강제한다.

그래서 자바에서는 초기화하지 않은 변수를 사용할 경우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1
 2
 3
 4
 5
 6
 7
 8
 9
10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변수 선언
        int a;
        
        System.out.println(a); 
    }
}

위 코드를 실행해보면 java: variable a might not have been initialized 이와 같은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파이썬을 다루면서 몰랐지만 컴파일 언어의 컴파일 과정에서 에러를 미리 잡아주는 건 너무 좋은 것 같다.

그래서 이걸 학습한 관점에서 파이썬을 봤을 때 파이썬에서는 별도의 초기화 작업이 없는 이유가 내 셍긱이지만 어차피 초기화를 반드시 해야해서 그런 게 아닌가 싶다.


항상 초기화를 직접 해줘야 하나?

위 자바 코드를 보면 개발자가 직접 초기화 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면 매번 이렇게 해야할까?

변수의 종류에 따라 초기화 작업 유무가 결정되는데 지역 변수인 경우 개발자가 직접 초기화를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멤버변수는 자바가 자동으로 초기화를 진행해준다.

변수의 종류

변수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

  • 지역 변수(Local Variable): Local scope에 선언된 변수로 그 예에는 메서드 바디에 선언된 변수와 메서드의 매개변수가 있다.
  • 멤버 변수(필드): 클래스에 선언된 변수로 그 예에는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가 있다.

지역 변수의 초기화 예시는 위에서 확인해봤으니 클래스 변수의 예를 확인해보자.

Student 클래스를 하나 생성하고, 이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하나 만들어보자.

  • 클래스

    1
    2
    3
    4
    5
    6
    7
    8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Student {
        int number;
        float grade;
        String name;
        boolean graduated;
    }
    
  • 인스턴스

     1
     2
     3
     4
     5
     6
     7
     8
     9
    10
    11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Studen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ystem.out.println("grade: " + student.grade);
            System.out.println("name: " + student.name);
            System.out.println("number: " + student.number);
            System.out.println("graduated: " + student.graduated);
        }
    }
    

위 인스턴스를 출력하면 다음과 같다.

grade: 0.0
name: null
number: 0
graduated: false

초기화 작업을 하지 않았어도 int는 0으로, float는 0.0으로 string은 null로, boolean은 false 초기화가 되어 있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 멤버변수의 자동 초기화값은 다음과 같다.

  • int: 0
  • float: 0.0
  • String: null
  • boolean: false

변수 명명법

다음으로 자바에서 변수 컨벤션은 무엇일까?

파이썬에서는 클래스는 PascalCase, 변수는 snake나 lowerCamelCase를 사용한다. 하지만 상수의 경우 대문자로만 입력하여 단어 구분은 언더바(_)를 사용한다.

자바 또한 이와 비슷하다.

클래스는 UpperCamelCase (PascalCase)를 사용하고, 변수를 포함한 나머지는 lowerCamelCase를 사용한다.

  • 상수의 경우 snake case처럼 언더바(_)를 사용하지만 대문자로만 입력한다.
  • 패키지는 모두 소문자를 사용한다.

변수의 종류

그러면 자바에서 변수의 종류와 범위는 어떻게 될까?

먼저 파이썬에서는 어떤지 간단히 리뷰를 해보자.

파이썬에서는 변수의 값은 하나 하나가 객체이기 때문에 그 종류가 정말 무수히 많다. 그래도 기본적인 타입들만 언급하자면 다음과 같다.

  • 정수형(int), 실수형(float), 복소수(complex), 참거짓(boolean), 문자열(string, ““와 ‘‘모두 사용가능)

  • 그리고 데이터를 담는 container의 관점에서 정말 기본적인 것만 보자면 list, tuple, dictionary, tuple 이 있다.

하지만 다시 말하자면 파이썬에서 모든 값들은 다 객체이기 때문에 매우 많다. 위 기본타입을 바탕으로 발전된 것들도 많다.

자바에서는 다음과 같다.

[값의 종류를 기준으로 나눈 변수의 종류]

  • 정수형
    • byte: -128 ~ 127 (1byte, 2의 8승)
    • short : -32,768 ~ 32,767 (2byte, 2의 16승)
    • int : -2,147,483,648 ~ 2,147,483,647 (약 20억) (4byte, 2의 32승)
    • long :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8byte, 2의 64승)
      • 숫자를 입력할 때 int 범위를 넘는 값을 입력할 때는 L 을 입력해야 한다. 소문자도 가능하지만 1과 헷갈리므로 대문자로만 입력하자.
      • ex: 12345678910L
  • 실수형
    • float : 대략 -3.4E38 ~ 3.4E38, 7자리 정밀도 (4byte, 2의 32승)
    • double : 대략 -1.7E308 ~ 1.7E308, 15자리 정밀도 (8byte, 2의 64승)
      • long 과 동일하게 끝에 f를 붙여야 한다.
      • ex: 1233123.023f
  • 기타
    • boolean: true, false (1byte, 2의 8승)
    • char: 문자 하나 (2byte, 2의 16승(8 x 2) ) + 홀따옴표(’’) 사용
    • String: 문자 길이에 따라 메모리 사용량이 동적으로 달라진다 + 쌍따옴표(”")를 사용

하지만 실무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것들은 boolean, int, double, String 이라 한다. short로는 너무 범위가 좁고, float로는 정밀도가 낮기 때문이다. 그리고, char 처럼 문자 하나만을 표현하는 일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모든 변수 종류를 모두 암기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자주 사용하는 변수 종류들의 범위만이라도 외워두자.


자바는 변수를 어떻게 전달할까?

변수 종류를 나누는 기준으로는 위에 언급된 것처럼 ‘값의 종류’ 뿐만 아니라 ‘값을 전달하는 방식’에 따라 나눠지기도 한다.

바로 ‘기본형(Primitive Type)’ 과 ‘참조형(Reference Type)’ 이다.

  • 기본형: int, long, boolean 처럼 변수에 사용할 값을 직접 넣는 데이터 타입
  • 참조형: 클래스, 배열과 같이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참조값(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

즉, 기본형은 실제 사용하는 값을 변수에 담고, 참조형은 실제 사용하는 값을 변수에 담는 게 아니라 객체 또는 배열의 참조값(주소)을 저장한다.

참조형의 경우 객체의 경우 .(dot) 나 배열의 경우 [] 를 통해서 메모리 상에 생성된 객체 또는 배열에 찾아가야 사용할 수 있다.

기본형과 참조형의 연산

기본형은 실제 값이 들어있기 때문에 그대로 계산에 사용할 수 있지만, 참조형은 실제 값이 아닌 참조값이서 연산에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주소지에 가야 실체가 있기 때문에, 주소지에 접근해야 사용하라 수 있다. 주소지만 가지고 어떻게 연산이 가능하겠는가?

1
2
3
// 기본형
int a = 10; b = 20;
int sum = a + b;

위처럼 기본형 연산은 가능하다.

1
2
3
4
5
6
7
8
public class Studen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Student student2 = new Student();
        System.out.println(student1 + student2);
    }

}

하지만 만약 참조형으로 연산을 할려고 시도한다면 컴파일 시 다음과 같은 에러를 확인할 수 있다.

java: bad operand types for binary operator '+'
  first type:  Student
  second type: Student

만약 참조형이 가지고 있는 값을 계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접근해서 계산해야 한다.

1
2
3
4
5
6
7
8
9
public class Studen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Student student2 = new Student();
        
        // 수정된 부분
        System.out.println(student1.grade + student2.grade);
    }
}

기본형과 참조형의 변수 대입 🔆

위 연산 과정을 통해 기본형과 참조형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면 위 차이가 변수를 대입할 때 어떻게 이뤄지는지 확인해보자.

결론부터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자바는 항상 변수의 값을 복사해서 대입한다.

그래서 기본형의 경우 실제 사용하는 값이 복사해서 전달된다. 그런데 참조형의 경우 실제 사용하는 객체가 아니라 객체의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값만 복사된다. 쉽게 이야기해서 건물이 복사되는 게 아닌 건물의 위치인 주소만 복사되는 것이다.

그러면 기본형의 경우부터 예시를 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public class Variab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50;
        int b = a;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a = " + a);
        System.out.println("b = " + b);

        a = 30;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변경 a = 30");
        System.out.println("a = " + a);
        System.out.println("b = " + b);

        b = 10;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변경 b = 10");
        System.out.println("a = " + a);
        System.out.println("b = " + b);
     
        System.out.println();
        System.out.println("메서드 호출 전");
        changeValue(a);
        System.out.println("메서드 호출 후 a = " + a);
    }

    public static void changeValue(int x) {
        x = 100;
    }
}

위 코드를 컴파일하면 다음과 같다.

a = 50
b = 50

변경 a = 30
a = 30
b = 50

변경 b = 10
a = 30
b = 10

메서드 호출 전
메서드 호출 후 a = 30

a의 값을 변경하면 b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b의 값을 변경해도 a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즉, 변수 b에 a를 할당할 때 참조값이 아닌 실제 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만약 참조값을 복사해서 전달한다면 a와 b값 모두 동시에 수정된다.

메서드를 호출할 때에도 메서드에서는 100으로 수정했지만 a의 값을 호출하면 그대로 30이다. 이는 변수에 들어있는 실제 값을 복사해서 전달했다는 걸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형의 예시를 보자. 똑같이 Student 클래스를 사용한다.

  • 클래스

    1
    2
    3
    4
    5
    6
    7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Student {
        int number;
        float grade;
        String name;
    }
    
  • 인스턴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Studen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Student student2 = student1;
            Student student3 = new Student();
            System.out.println("student1: " + student1);
            System.out.println("student2: " + student2);
            System.out.println("student3: " + student3);
    
        }
    }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 결과를 알 수 있다.

student1: Week3.Student@22f71333
student2: Week3.Student@22f71333
student3: Week3.Student@13969fbe

각 인스턴스의 참조값이 출력된다. student2의 경우 student1를 할당하면서 동일한 참조값이 복사 및 전달된 걸 확인할 수 있고, student3는 새로 생성했기 때문에 다른 참조값을 가진 걸 알 수 있다.

현재 Student의 인스턴스들에는 기본값으로 초기화되어 있다. 그래서 이를 다른 값으로 수정하려고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Studen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Student student2 = student1;
        Student student3 = new Student();
        student1.name = "kim";

        System.out.println("student1.name: " + student1.name);
        System.out.println("student2.name: " + student2.name);
        System.out.println("student3.name: " + student3.name);
            
    }
}

위 코드는 name 값만 다른 값으로 초기화했다. 출력하면 다음과 같다.

student1.name: kim
student2.name: kim
student3.name: null

student1student2는 동일한 참조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student1.name만 변경했지만 student2.name도 변경되었다. student3는 다른 참조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대로 기본값인 null을 가지고 있다.

그러면 메서드를 통해 수정할 때는 어떨까?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package variable;

public class Student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 new Student();
        Student student2 = student1;
        Student student3 = new Student();

        System.out.println("변경 전 student1.grade: "+ student1.grade);
        changeGradeValue(student1);
        System.out.println("변경 후");
        System.out.println("student1.grade: " + student1.grade);
        System.out.println("student2.grade: " + student2.grade);
        System.out.println("student3.grade: " + student3.grade);
    }
    
    public static void changeGradeValue(Student student) {
        student.grade = 100;
    }
}

changeGradeValue 메서드를 추가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다.

변경 전 student1.grade: 0.0
변경 후
student1.grade: 100.0
student2.grade: 100.0
student3.grade: 0.0

student1 객체만 changeGradeValue에 전달했지만 student2.grade의 값도 변경되었다. 즉, 동일한 참조값을 참조한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래서 객체를 매개변수로 전달할 때에는 이 원리를 항상 유의해야 한다.

자바 변수에서 제일 중요한 원칙을 다시 읽어보며 이번 포스팅을 끝내도록 한다.

🫡 자바는 항상 변수의 값을 복사해서 대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