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에 대해서

상속, 부모 클래스, 자식 클래스란?

기존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새로운 클래스에서 재사용하도록 물려받는 것을 ‘상속’이라 한다.

이 상속을 통해서 자신의 필드와 메서드를 제공하는 클래스를 부모 클래스 (슈퍼 클래스), 부모 클래스로부터 필드와 메서드를 상속받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 (서브 클래스) 라 한다.

자바에서 상속은 extends 라는 키워드를 통해서 수행된다. 이 키워드를 통한 상속은 오직 하나의 클래스만 받을 수 있다. ‘다중 상속’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이 부분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나중에 학습하자.)

상속의 이점에 대해 알아보자.

아래에 상속을 받지 않는 TomatoPastaBaconCreamPasta가 있다.

  • Ta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public class TomatoPasta {
    
        int price;
        String name;
        String sauce;
    
        public void cookTomato() {
            System.out.println("토마토를 조리합니다.");
        }
    
        public void complete() {
            System.out.println("조리를 완료합니다.");
        }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음식을 서빙합니다.");
        }
    }
    
  • BaconCream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public class BaconCreamPasta {
    
        int price;
        String name;
        String sauce;
    
        public void cookBacon() {
            System.out.println("베이컨을 조리합니다.");
        }
    
        public void makeCream() {
            System.out.println("크림 소스를 만듭니다.");
        }
    
        public void complete() {
            System.out.println("조리를 완료합니다.");
        }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음식을 서빙합니다.");
        }
    }
    

위 2개의 클래스에 상속을 적용해보자.

상속의 부모 클래스로 Pasta 를 만든다. Pasta를 한 이유는 토마토 파스타와 베이컨 크림 파스타 모두 파스타의 구체적인 개념이고, Pasta는 이 두 파스타의 추상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 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public class Pasta {
    
        int price;
        String name;
        String sauce;
    
        public void complete() {
            System.out.println("조리를 완료합니다.");
        }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음식을 서빙합니다.");
        }
    }
    
  • Ta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public void cookTomato() {
            System.out.println("토마토를 조리합니다.");
        }
    }
    
  • BaconCream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BaconCreamPasta extends Pasta {
    
        public void cookBacon() {
            System.out.println("베이컨을 조리합니다.");
        }
    
        public void makeCream() {
            System.out.println("크림 소스를 만듭니다.");
        }
    }
    

모든 파스타에서 공통으로 가지는 속성과 기능은 Pasta 클래스에서 전달하고, 구체적인 파스타마다 가지는 필드와 기능은 자식 클래스에서 가진다.

그래서 부모가 가지는 것은 상속을 통해 자식도 당연히 가지고 있지만, 자식이 가지고 있는 건 부모가 가질 수 없다.

 

상속과 기능 추가

그러면 상속의 장점을 느껴보자.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은 자식 클래스 세 개가 있다.

이 자식 클래스에 A라는 메서드와 B라는 필드를 추가할려고 할 때, 상속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각 자식 클래스마다 A 메서드와, B 필드를 입력해야 한다. 하지만, ‘상속’을 사용한다면 자식 클래스가 상속 받은 부모 클래스에 추가한다면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예시 코드를 통해 확인해보자. 앞선 예시와 동일한 코드에 속성과 기능을 하나씩 추가하려고 한다.

  • 속성: 면의 종류 정보를 가지고 있는 noodle
  • 기능: 면을 삶는 기능인 cookNoodles()

상속을 통해 TomatoPastaBakonCreamPasta 클래스에 각각 추가하지 않고 Pasta 클래스에 추가한다.

  • 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public class Pasta {
    
        int price;
        String name;
        String sauce;
        String noodle;  // 추가된 속성
    
        // 추가된 기능
        public void cookNoodles() {
            System.out.println("면을 삶습니다.")
        }
    
        public void complete() {
            System.out.println("조리를 완료합니다.");
        }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음식을 서빙합니다.");
        }
    }
    

나머지 TomatoPastaBakonCreamPasta 클래스들은 동일하다.

만약 새로운 파스타 종류를 추가한다면 Pasta를 상속받아 새로 만드는 파스타만의 속성과 기능만 추가하면 된다.

  • 새로 추가하는 GarlicAndOliveOilPasta 클래스

    1
    2
    3
    4
    5
    6
    
    public class GarlicAndOliveOilPasta extends Pasta {
    
        public void makeGarlicOilSauce() {
            System.out.println("마늘과 올리브 오일을 사용해서 소스를 만듭니다.");
        }
    }
    

상속과 메모리 구조 🔆

우리는 앞선 포스팅에서 JVM의 메모리 영역에 대해서 학습했다.

어떻게 메모리에서 상속이 어떻게 구현되고 작동되는지 알아보자.

위 예시 코드를 기반으로 각 파스타에 대한 인스턴스를 생성한 PastaMain 코드가 있다.

  • PastaMain 클래스

    1
    2
    3
    4
    5
    6
    7
    8
    
    public class Past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matoPasta pasta1 = new TomatoPasta();
    
            pasta1.cookTomato();
            pasta1.complete();
        }
    }
    

그리고 TomatoPasta 만의 속성으로 tomatoOrigin 을 추가한다. 이 속성의 값은 Korea로 고정시킨다. 이러면 클래스 변수로 설정하는 게 좋지만, 상속과 메모리 구조 이해를 위해 한다.

  • To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String tomatoOrigin = "Korea";
    
        public void cookTomato() {
            System.out.println("토마토를 조리합니다.");
        }
    }
    

위 코드가 실행되면 다음 그림에 나온 순서처럼 실행된다.

 

인스턴스에는 부모와 자식 클래스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고, 영역이 구분된다.

인스턴스 참조값이 담겨진 참조 변수의 참조값은 하나이지만, 실제로 그 안에는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 정보가 공존한다. 즉, 부모 클래스까지 포함해서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그래서 상속이라고 하여 단순히 물려받는게 아니다. 부모와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가 모두 생성되고 메모리 영역에서 공간도 구분된다. 부모 클래스의 멤버 필드의 값 정보는 인스턴스의 부모 공간에 생성되고, 자식 클래스의 멤버 필드의 값 정보는 인스턴스의 자식 공간에 생성된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위 그림을 보자. pasta1 참조 변수가 TomatoPasta 클래스의 인스턴스 참조값을 가지고 있다. 이 참조값이 가리키고 있는 heap 영역을 보면 생성된 인스턴스 내부에는 부모 클래스인 Pasta의 영역과 자식 클래스인 TomatoPasta의 영역으로 나눠져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단지 TomatoPasta의 인스턴스 속성만 있는 게 아니라, Pasta의 인스턴스 속성도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메모리 공간 크기

그래서 메모리 공간 크기의 관점에서 보자면 부모 클래스의 필드와 속성까지 생성되기 때문에 메모리 공간이 더 필요하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다시 위 그림을 보면 왜 메모리 공간 크기가 더 필요한지 직관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상속 관계 객체 호출 시, 대상 타입 지정

인스턴스 내부에 부모 클래스 속성까지 포함해서 생성되기 때문에, 참조 변수 선언 시 어떤 객체 타입으로 할지를 정확하게 지정해줘야 한다. 왜냐하면 인스턴스에는 부모 클래스에 대한 정보와 자식 클래스에 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클래스부터 조회할지를 결정해야 한다. 이를 결정하는 방법이 바로 호출하는 변수의 타입(클래스)을 기준으로 선택하기 때문이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그림을 다시 보면 참조 변수 pasta1을 선언할 때 TomatoPasta로 타입을 지정했기 때문에 메서드 실행 시, 첫 번째로 조회하는 클래스 타입이 TomatoPasta임을 알 수 있다.

 

참조 방향

지정한 본인 타입에서 기능을 찾지 못하면 상위 부모 타입으로 기능을 찾아서 실행한다. 만약 더 더 상위 부모 타입까지 찾았는데 찾지 못한다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왜냐하면 참조 방향이 아래에서 위로만 올라가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본인 타입에서 필요한 필드나 메서드를 찾는다. 없으면 부모 타입에서 찾는다. 이렇게 계속 더 상위 부모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는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그림을 다시 보면 pasta1.complete()를 실행할 때 TomatoPasta 클래스에서 찾지 못하자 extends 예약어를 통해서 부모 클래스를 인식하여 Pasta 부모 클래스로 올라가 complete() 메서드를 실행한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위 코드를 수정해서 컴파일 오류를 발생시켜보자.

1
2
3
4
5
6
7
    public class Past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sta pasta1 = new TomatoPasta();

            pasta1.cookTomato();
        }
    }

위와 같이 수정했다. 인스턴스는 TomatoPasta의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인스턴스에는 부모 클래스와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 속성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다. 참조 방향이 위에서 아래로 올라간다면 위 코드는 컴파일 에러가 발생되고, 방향 상관없이 찾는다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수정하니 다음 같이 컴파일 에러가 발생했다.

java: cannot find symbol
  symbol:   method cookTomato()

위 결과를 통해서 참조 방향은 반드시 아래에서 위로만 올라간다 는 걸 확인했다.


오버라이딩(Overriding)

부모에서 정의한 기능을 자식이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자식한테 보다 맞는 방식으로 기능을 재정의하고 싶을 때도 있다. 부모에게서 상속 받은 기능을 자식이 재정의하는 것을 메서드 오버라이딩(Overriding)이라 한다. 오버라이딩은 @Override 키워드를 사용한다.

위 사용한 코드를 바탕으로 오버라이딩을 해보자. Pasta 클래스의 serve() 메서드를 재정의해보자.

  • To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String tomatoOrigin = "Korea";
    
        public void cookTomato() {
            System.out.println("토마토를 조리합니다.");
        }
    
        @Override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토마토 파스타를 바질 잎과 함께 서빙합니다.");
        }
    
    
    }
    
  • BaconCream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public class BaconCreamPasta extends Pasta {
    
        public void cookBacon() {
            System.out.println("베이컨을 조리합니다.");
        }
    
        public void makeCream() {
            System.out.println("크림 소스를 만듭니다.");
        }
    
        @Override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베이컨 크림 파스타에 치즈를 뿌려서 서빙합니다.");
        }
    }
    

 

@Override annotation(애노테이션)이 필요한 이유

@ 이 붙은 부분을 annotation(애노테이션)이라 하며, ‘주석’을 의미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주석이 아니라, 프로그램이 읽을 수 있는 특별한 주석이다.

@Override를 통해서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는 것임을 나타낸다. 그러면 상위 클래스의 어떤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한 건지를 컴파일러가 확인한다. 오버라이딩 조건을 만족시키지 않으면 컴파일 에러를 발생시켜서 실수로 오버라이딩을 못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예를 들어 위 코드를 기준으로 보자면 부모 클래스에 serve() 메서드가 없다면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그래서 권장하지만 필수로 이 애노테이션을 사용하자.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대해 더 이야기해보겠다. 부모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자식 메서드를 호출하려고 한다. 그런데 파라미터의 타입을 잘못 지정해서 또는 메서드 이름에 오타가 생겨서 자식 클래스의 메서드가 아닌,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Override 애노테이션을 사용한다. 이 애노테이션이 없어도 오버라이딩은 되지만, 에러를 잡아내지 못하기 때문에 필수로 사용해야 한다.

 

오버라이딩과 메모리 구조

애노테이션을 통해서 자식 클래스에 메서드를 재정의했으므로, 참조 변수의 타입이 자식 클래스이면 자식 클래스부터 조회하기 시작하여 부모 타입을 찾지 않고, 원하는 메서드를 찾아 실행된다.

 

오버로딩(Overloading)과 오버라이딩(Overriding)의 차이

오버라이딩은 이미 알아봤으니 오버로딩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메서드 오버로딩(method overloading)은 메서드 이름이 같고 매개변수(파라미터)가 다른 메서드를 여러개 정의하는 것을 메서드 오버로딩(Overloading)이라 한다. 오버로딩은 번역하면 과적인데, 과하게 물건을 담았다는 뜻이다. 따라서 같은 이름의 메서드를 여러 개 정의했다고 이해하면 된다.

메서드 시그니처에 대해 다시 짚어보자. 메서드 시그니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메서드 시그니처 = 메서드 이름 + 파라미터의 타입, 순서, 갯수 등의 정보

오버라이딩은 이름은 같고 파라미터의 타입, 순서, 갯수가 다른 메서드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결국 메서드 시그니처가 같지 않아 동일한 이름이어도 오버로딩이 가능한 것이다.

 

오버라이딩의 조건

메서드 오버라이딩의 조건은 까다롭다. 그러니 최소한 메서드 시그니처가 같아야 오버라이딩이 가능하다 는 사실부터 시작해보자.

오버라이딩의 조건을 풀어서 설명하겠다.

  • 메서드 이름: 메서드 이름이 같아야 한다.
  • 메서드 매개변수: 매개변수의 타입, 순서, 갯수가 같아야 한다.

위 내용을 보면 메서드 시그니처가 같아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여기에 추가로 다음과 같은 조건들이 더 있다.

  • 반환 타입: 반환 타입이 같아야 한다. 단, 반환 타입이 하위 클래스 타입일 수 있다.
  • 접근 제어자: 오버라이딩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는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보다 더 제한적이면 안된다.
    • 예를 들어 상위 클래스의 메서드가 protected로 선언되어 있으면 오버라이딩된 하위 클래스의 메서드는 public 또는 protected 로만 가능하다. privatedefault로 선언할 수 없다.
  • static, final, private 키워드가 붙은 메서드는 오버라이딩 될 수 없다.
    • static: 클래스 레벨에서 작동하므로 인스턴스 레벨에서 사용하는 오버라이딩은 의미가 없다. 클래스 이름으로 접근하면 되기 때문이다.
    • final: 이 키워드를 사용하면 메서드 오버라이딩을 금지한다.
    • private: 해당 클래스에서만 접근 가능하기 때문에, 하위 클래스에서 보이지 않아 오버라이딩을 할 수 없다.
  • 생성자: 생성자는 오버라이딩할 수 없다. super()를 통해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로 값을 전달해야 한다.

조건들이 위와 같이 많지만 이해하면 크게 어려운 게 없다.


super

위 생성자 오버라이딩 관련해서 super 키워드를 언급했다. 이 키워드는 상속 개념과 관련하여 많이 사용되고, 언급되는 키워드다. 이 키워드에 대해 정리해보자.

super 키워드를 통해서 2가지를 사용할 수 있다. ‘부모 참조’와 ‘부모 생성자’다.

부모 참조

‘부모 참조’부터 알아보자.

상속과 오버라이딩을 사용한다고 해도 오버라이딩되지 않은 부모의 메서드를 사용하고 싶거나, 부모의 필드값을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어떻게 해야할까?

부모와 자식의 필드명이 같거나 메서드가 오버라이딩 되어 있으면, 자식에서 부모의 필드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없다. 필드명이 같으면 자식의 필드명으로 먼저 인식되어 부모의 필드를 사용할 수 없고, 메서드가 오버라이딩 되어 있으면 부모의 메서드가 아닌 오버라이딩한 자식의 메서드를 사용한다.

이럴 때 this 처럼 자기 자신 인스턴스를 참조할 때 사용하듯이 부모 클래스를 참조할 때 super 키워드를 사용하면 부모를 참조할 수 있다. super 는 이름 그대로 부모 클래스에 대한 참조를 나타낸다.

아래 코드를 보자. 부모 클래스의 필드명과 자식 클래스의 필드명 모두에 name이 있다.
메서드도 serve() 로 자식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 되어 있다. 이때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nameserve() 를 호출하고 싶다면 super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 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package extends1.pra;

public class Pasta {

    String name = "Pasta";

    ...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음식을 서빙합니다.");
    }
}
  • To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package extends1.pra;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String name = "TomatoPasta";
    
        String tomatoOrigin = "Korea";
    
        ...
    
        @Override
        public void serve() {
            System.out.println("완료된 토마토 파스타를 바질 잎과 함께 서빙합니다.");
        }
    
        public void call() {
            System.out.println("자식 클래스: " + this.name);
            System.out.println("부모 클래스: " + super.name);
        }
        this.serve();
        super.serve();
    }
    

TomatoPasta pasta1 = new TomatoPasta(); 를 통해서 인스턴스 생성 후, pasta1.call()를 실행하면 다음과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결과

    1
    2
    3
    4
    
    자식 클래스: TomatoPasta
    부모 클래스: Pasta
    완료된 토마토 파스타를 바질 잎과 함께 서빙합니다.
    완료된 음식을 서빙합니다.
    

super를 통해서 ‘부모 참조’로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 안에 선언된 것들에 접근할 수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정확히 말하자면 접근 제어자로 허용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 포스팅의 맨 마지막 단원에서 확인해본다.

 

생성자

그 다음으로 super 키워드를 사용하여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해보자.

상속과 메모리 구조 단원에서 상속 관계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메모리의 힙 영역에는 부모와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가 모두 생성된다는 걸 확인했다. 위 코드 예시를 보자면 TomatoPasta를 생성하면 부모인 Pasta까지 함께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부모와 자식 각각의 생성자가 모두 반드시 호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에서 반드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해야 한다. 이럴 때 사용하는 게 바로 super(...)다.

아래 코드를 보자.

  • 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Pasta {
    
        ...
    
        public Pasta() {
            System.out.println("부모 클래스 Pasta 생성자 호출");
        }
    
        ...
    }
    
  • To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String name;
    
        public TomatoPasta(String name) {
            super();
            this.name = name;
            System.out.println("자식 클래스 TomatoPasta 호출");
        }
    }
    
  • PastaMain 클래스

    1
    2
    3
    4
    5
    
    public class Past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omatoPasta pasta1 = new TomatoPasta("TomatoPasta");
        }
    }
    

PastaMain 클래스를 실행하면 다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 결과

    1
    2
    
    부모 클래스 Pasta 생성자 호출
    자식 클래스 TomatoPasta 호출
    

자식 클래스의 생성자 안에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super()를 사용해서 호출한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이번에는 super()를 빼고 실행해보자.

  • To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String name;
    
        public TomatoPasta(String name) {
            // super() 를 주석처리 했다. 
            this.name = name;
            System.out.println("자식 클래스 TomatoPasta 호출");
        }
    }
    

다시 PastaMain을 실행하면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어째서일까? 매개변수가 없는 기본 생성자는 생략이 가능하기 때문에 super()를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가 호출된다. 기본 생성자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런 기능이 추가되었다.

그 다음으로 부모의 기본 생성자 호출을 자식 생성자 안에서 첫 줄에 하는 게 아닌 두 번째 줄에다가 해보자.

  • TomatoPasta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TomatoPasta extends Pasta {
    
        String name;
    
        public TomatoPasta(String name) {
            this.name = name;
            super();
            System.out.println("자식 클래스 TomatoPasta 호출");
        }
    }
    

위 코드 상태로 다시 PastaMain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를 확인할 수 있다.

  • 결과

    1
    
    java: call to super must be first statement in constructor
    

위 결과를 통해서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는 건 자식 클래스 생성자의 첫 번째 줄에 선언해야 한다 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다음으로 기본 생성자가 아닌 사용자 정의 생성자를 사용해보자. 이를 위해서 새로운 코드를 사용하려고 한다. ClassA, ClassB, ClassC를 만들려고 한다. ClassAClassB의 부모 클래스이고, ClassBClassC의 부모 클래스다. super()를 사용해서 ClassC의 생성자에서 ClassB의 생성자를, ClassB의 생성자에서 ClassA의 생성자를 호출할 것이다.

  • ClassA 클래스

    1
    2
    3
    4
    5
    6
    7
    8
    
    public class ClassA {
    
        public ClassA(int firstValue) {
            System.out.println("===== ClassA 생성자 호출 =====");
            System.out.println("ClassA 생성자의 firstValue: " + firstValue);
            System.out.println("===== ClassA 생성자 호출 끝 =====");
        }
    }
    
  • ClassB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public class ClassB extends ClassA{
    
    
        public ClassB(int firstValue) {
            super(firstValue);
            System.out.println("===== ClassB 생성자 1 호출 =====");
            System.out.println("ClassB 생성자 1의 firstValue: " + firstValue);
            System.out.println("===== ClassB 생성자 1 호출 끝 =====");
        }
    
        public ClassB(int firstValue, int secondValue) {
            this(firstValue);
            System.out.println("===== ClassB 생성자 2 호출 =====");
            System.out.println("ClassB 생성자 2의 firstValue: " + firstValue);
            System.out.println("ClassB 생성자 2의 secondValue: " + secondValue);
            System.out.println("===== ClassB 생성자 2 호출 끝 =====");
        }
    }
    
  • ClassC 클래스

    1
    2
    3
    4
    5
    6
    7
    
    public class ClassC extends ClassB{
    
        public ClassC() {
            super(1, 2);
            System.out.println("===== ClassC 생성자 호출 =====");
        }
    }
    
  • Main 클래스

    1
    2
    3
    4
    5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assC instance = new ClassC();
        }
    }
    

위 코드를 보면 다음 사항을 다시 알 수 있다.

  • extends를 사용하여 부모 클래스로 무엇을 받을지 지정했다.
  • 생성자의 첫 줄에 super()를 사용하여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반드시 첫 번째로 호출했다.
  • this()를 사용하여 생성자 오버로딩을 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결과

     1
     2
     3
     4
     5
     6
     7
     8
     9
    10
    11
    
    ===== ClassA 생성자 호출 =====
    ClassA 생성자의 firstValue: 1
    ===== ClassA 생성자 호출 끝 =====
    ===== ClassB 생성자 1 호출 =====
    ClassB 생성자 1의 firstValue: 1
    ===== ClassB 생성자 1 호출 끝 =====
    ===== ClassB 생성자 2 호출 =====
    ClassB 생성자 2의 firstValue: 1
    ClassB 생성자 2의 secondValue: 2
    ===== ClassB 생성자 2 호출 끝 =====
    ===== ClassC 생성자 호출 =====
    

메서드 호출마다 스택 영역에 해당 메서드의 스택 프레임이 쌓인다.

그리고, 스택이므로 후입선출 구조임을 다시 기억하면서 위 결과를 분석해보자.

생성자 호출 순서는 다음과 같다.

  • ClassC 생성자 진입 -> ClassB 생성자 2 호출 -> ClassB 생성자 1 호출 -> ClassA 생성자 호출

그래서 호출 후 출력 순서는 위 결과처럼 ClassA부터 시작해서 ClasB 생성자 1 -> ClassB 생성자 2 -> ClassC 생성자 순서로 출력되는 것이다.

 


상속과 접근 제어

이번에는 상속 관계의 두 클래스에 접근 제어자를 적용해보자. 개인적으로 접근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코드로 다음 코드가 제일 좋다고 생각한다.

아래 두 클래스는 서로 다른 패키지에 존재한다.

  • Parent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package example.parent; // 패키지 위치
    
    public class ParentClass {
    
        private int privateValue;
        int defaultValue;
        protected int protectedValue;
        public int publicValue;
    
    
        private void privateMethod() {
            System.out.println("ParentClass privateMethod");
        }
    
        void defaultMethod() {
            System.out.println("ParentClass defaultMethod");
        }
    
        protected void protectedMethod() {
            System.out.println("ParentClass protectedMethod");
        }
    
        public void publicMethod() {
            System.out.println("ParentClass publicMethod");
            System.out.println("publicValue = " + publicValue);
            System.out.println("protectedValue = " + protectedValue);
            System.out.println("defaultValue = " + defaultValue);
            System.out.println("privateValue = " + privateValue);
        }
    }
    
  • Child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package example.child;  // 패키지 위치
    
    import example.parent.ParentClass;
    
    public class ChildClass extends ParentClass {
    
        public void call() {
            publicMethod();
            protectedMethod();
        }
    }
    
  • ChildMain 클래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package example;  // 패키지 위치
    
    import example.child.ChildClass;
    
    public class Chil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ildClass child = new ChildClass();
    
            child.defaultMethod();
            child.privateMethod();
            child.protectedMethod();
            child.call();
        }
    }
    

그러면 위 ChildMain 클래스를 실행해보자.

  • 결과

    1
    2
    3
    
    java: cannot find symbol
    symbol:   method defaultMethod()
    location: variable child of type example.child.ChildClass
    

defaultMethod()를 찾을 수 없다고 끈다. default 이기 때문에 같은 패키지가 아니면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child.defaultMethod()를 주석처리한 후, 실행해보자.

  • 결과

    1
    2
    3
    
    java: cannot find symbol
    symbol:   method privateMethod()
    location: variable child of type example.child.ChildClass
    

private이기 때문에 클래스 외부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주석처리한 후, 다시 실행해보자. 그러면 인스턴스 생성 후, 첫 번째로 실행되는 코드는 child.protectedMethod()다.

  • 결과

    1
    
    java: protectedMethod() has protected access in example.parent.ParentClass
    

protected이기 때문에 같은 패키지 또는 상속 받은 클래스에서만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그러면 이 코드도 주석처리를 한 후 실행해보자. 그러면 인스턴스 생성 후, 첫 번째로 실행되는 코드는 child.call()이다.

  • 결과

    1
    2
    3
    4
    5
    6
    
    ParentClass publicMethod
    publicValue = 0
    protectedValue = 0
    defaultValue = 0
    privateValue = 0
    ParentClass protectedMethod
    

그러면 코드가 잘 실행되는 거 확인할 수 있다.

  • 부모의 publicMethod 메서드는 public이기 때문에 호출이 가능하다.
  • 자식 클래스이므로 다른 패키지여도 부모의 protectedMethod()를 호출할 수 있다.
  • 그리고 부모의 publicMethod를 통해 부모의 private, defaul 값도 접근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