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대표적인 특징들과 다형성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는 대표적으로 아래의 3가지 특징을 가진다.
캡슐화(encapsulation): 객체의 속성과 기능을 객체 안에서 관리하고, 접근 제어자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필요한 것만 제공하는 방식
상속(inheritance): 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자식 클래스가 물려받아 사용하는 방식
위 2가지는 시각적으로 쉽게 드러나기 때문에 이해하기 쉽다. 하지만 ‘다형성(polymorphism)‘은 위 2가지 특징보다 조금 어렵다.
‘다형성’은 크게 2가지 이론: 다형적 참조, 메서드 오버라이딩을 알아야 한다.
먼저 ‘다형성’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자면 ‘다형성’은 하나의 객체가 여러 타입의 객체로 취급받을 수 있는 특성 을 말한다.
그러면 이 ‘다형성’의 큰 2가지 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다형적 참조
‘다형적 참조’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다형성’이란 의미에서 시작해보자. 하나의 객체가 여러 타입의 객체로 취급받을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고 했으니, 다형적 참조란 여러 타입의 객체로 취급받을 수 있는 참조 방식 을 말하는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그러면 캡슐화, 상속을 이해하기 위해 우리는 코드를 통해 이해한 것처럼 다형적 참조도 코드를 통해 이해해야하는데, 어떤 예시들이 있을까?
상속을 사용하여 변수를 참조할 때에 어떤 경우들이 있을까?
- 자식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것
- 부모 인스턴스를 부모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것
- 자식 인스턴스(또는 손자 이하 단계의 인스턴스)를 부모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것
- 부모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것
위 경우들에서 다형적 참조는 3번과 4번에 해당된다. 다형적 참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생성된 인스턴스의 클래스 타입 외에 상속 관계에 있는 다른 클래스 타입으로 참조하는 것’ 을 말한다.
하지만 4번은 가능하지 않다. 위 각 경우를 코드로 확인해보자. 그러면 위 각 경우들을 코드로 나타내보자.
부모 클래스
1 2 3 4 5
public class Parent { public void ParentMethod() { System.out.println("Parent.parentMethod"); } }
자식 클래스
1 2 3 4 5
public class Child extends Parent { public void childMethod() { System.out.println("Child.childMethod"); } }
인스턴스 생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public class Chil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자식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System.out.println("Child instance with Child type");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1.parentMethod(); child1.childMethod(); // 2) 부모 인스턴스를 부모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System.out.println("Parent instance with Parent type"); Parent parent1 = new Parent(); parent1.parentMethod(); // 3) 자식 인스턴스를 부모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System.out.println("Child instance with Parent type"); Parent parent2 = new Child(); parent2.parentMethod(); // 4) 부모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System.out.println("Parent instance with Child type"); // 컴파일 오류 발생 Child child2 = new Parent(); child2.childMethod() } }
위 인스턴스 생성 코드를 실행하면 Child child2 = new Parent2()
에서 다음 에러가 발생한다.
|
|
Parent
인스턴스는 Child
타입을 가질 수 없다는 의미다.
다형적 참조가 가능한 이유
그러면 위 1,2,3번은 가능하고, 4번은 가능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알아보자.
자식 인스턴스가 메모리에 어떻게 생성되는지 이미지로 확인하고 싶으면 상속과 오버라이딩이 메모리 영역에서 어떻게 이뤄지지?- 상속과 메모리 구조를 확인하자.
1) 자식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Child
의 인스턴스만 생성되는게 아니라 Parent
의 인스턴스도 생성된다. 인스턴스는 Child
타입과 Parent
타입을 모두 가지고 있다. 그래서 참조 변수 생성할 때 자식 타입과 부모 타입 모두 가능하다. 그래서 인스턴스의 타입을 자식 위치에 있는 Child
로 정할 수 있다.
메서드 실행의 경우 child1.parentMethod()
의 실행은 Child
클래스에서 parentMethod()
를 찾지 못하자, 부모인 Parent
클래스로 올라가서 찾아 실행한 경우다.
2) 부모 인스턴스를 부모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Parent
의 인스턴스만 생성되고, Child
의 인스턴스는 생성되지 않은 경우다. 여기서 parent1.childMethod()
를 실행하면 childMethod()
를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3) 자식 인스턴스를 부모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1번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Parent
와 Child
의 인스턴스가 모두 생성된다고 했다. 그래서 참조 변수의 타입을 Parent
로 할 수 있다.
그러면 1번과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바로 참조변수의 타입이 이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들의 조회 시작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자식 위치에 있는 클래스 정보를 조회할 수 없다.
작성된 코드를 보면 참조변수의 타입이 바뀐 것이다. 참조변수의 타입이 코드 작동 시 무슨 차이점을 만들까?
이전 포스팅에서 상속 관계는 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조회할 수 있지만, 반대 방향으로는 내려갈 수 없다고 했다.
참조 변수의 타입이 Parent
이기 때문에 클래스 조회 순서가 Parent
부터 시작한다. 자식 인스턴스여도 childMethod()
를 실행할 수 없다는 의미다. 왜냐하면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들의 조회방향은 자식에서 부모 방향으로 위로만 갈 수 있기 때문이다.
Parent
클래스가 만약 GrandParent
라는 클래스를 상속받으면 Parent
클래스에서 GrandParent
클래스 방향으로 조회한다. 하지만 현재 위 코드는 Parent
가 끝이기 때문에 위로 올라갈 클래스는 없다.
4) 부모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
이 인스턴스의 경우, Parent
클래스의 인스턴스만 생성된 경우라서 Child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는 없다.
그래서 참조 변수의 타입을 Child
로 할 경우, 생성된 인스턴스에 Child
정보가 없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던 것이다.
|
|
그러면 4번과 같은 상황에서 Child
타입으로 변환하고 싶으면 어떻게 해야할까?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게 ‘캐스팅(Casting)‘이다. 캐스팅에 대해서 알아보자.
캐스팅(Casting)
캐스팅의 의미는 ‘주조’라는 ‘액체 상태의 금속을 원하는 형틀에 부어 넣어 굳혀서 모양을 만드는 작업’을 말한다.
다른 형태로 만드는 것이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위 내용에서 학습한 것과 이어서 이해하자면 다른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 을 캐스팅 이라 이해하자.
캐스팅에는 ‘Down casting(다운 캐스팅)‘과 ‘Up casting(업 캐스팅)‘이 존재한다.
- 다운 캐스팅: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 관계 중 부모 클래스 타입에 속한 변수를 자식 클래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것
- 업 캐스팅: 상속 관계에 있는 클래스 중 자식 클래스 타입을 부모 클래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것
그러면 각 캐스팅에 대해 알아보자.
다운 캐스팅(Down casting)
다운 캐스팅은 위에서 설명한 대로 부모 클래스 타입에 속한 참조 변수를 자식 클래스 타입으로 변경하는 것 을 말한다.
영구적으로 다운 캐스팅을 하는 방식이 있고, 일시적으로 하는 방식이 있다. 각 방식에 대해 알아보자.
영구적 다운 캐스팅
어떻게 해서 영구적으로 가능한 것일까? 다운 캐스팅한 결과를 자식 클래스 타입으로 선언한 새로운 참조 변수에 담는 것이다.
Parent
타입을 Child
타입으로 다운 캐스팅하기 위해서는 생성된 인스턴스에 Child
인스턴스가 있어야 가능하다. 즉, Child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생성한 후, Parent
타입으로 참조 변수를 초기화해야 가능하다.
|
|
위 영구적 다운 캐스팅의 경우도 parent2
에 있는 참조값을 복사해서 읽는다. JAVA에서 대입은 항상 기존 것을 절대 손대지 않는다. 그래서 실행순서를 보다 쪼개서 이해하면 다음과 같다.
|
|
아래 코드를 실행하면 parent2
와 child
모두 동일한 참조값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 코드
1 2
System.out.println(child); System.out.println(parent2);
실행 결과
1 2
example.Child@3cb5cdba example.Child@3cb5cdba
그래서 동일한 참조값을 가지고 있어도, 인스턴스에 변환할 타입 정보가 존재한다면 가능하다.
영구적 다운 캐스팅 시도 시 오류 발생
만약 정보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
|
|
위 poly 참조 변수가 가리키는 인스턴스에는 Parent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가 가지고 있다. 그래서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
|
변환할 수 없다고 뜬다.
항상 다운 캐스팅을 할 때에는 인스턴스에 변환하려는 타입의 인스턴스 정보가 있는지 먼저 확인하자.
일시적 다운 캐스팅
일시적으로만 다운 캐스팅해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
|
위 코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
를 사용해 일시적으로 다운 캐스팅을 할 수 있다. ((Child) x111).childMethod()
라고 생각하자.
이렇게 일시적 다운 캐스팅을 사용하면 별도의 변수 없이 인스턴스의 자식 타입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업 캐스팅(Up casting)
이제는 반대로 업 캐스팅(up casting)에 대해 알아보자. 업 캐스팅은 자식 클래스 타입을 부모 타입으로 변경하는 것 을 말한다. 아래 업 캐스팅 코드를 확인해보자.
|
|
parent1_casted
와 parent2_casted
가 업 캐스팅에 의해 생성된 참조 변수다. 이 참조 변수를 보면 parent1_casted
는 (Parent)
를 명시했고, parent2_casted
는 (Parent)
를 생략했다. 업캐스팅은 (타입)을 생략할 수 있다. 다운캐스팅은 생략할 수 없다. 업캐스팅은 매우 자주 사용하기 때문에 생략을 권장한다.
안전한 업캐스팅, 위험한 다운 캐스팅 그리고 주의사항
그러면 왜 업 캐스팅은 생략할 수 있고, 다운 캐스팅은 생략할 수 없을까?
업 캐스팅의 경우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해당 타입의 상위 부모 타입은 함께 생성된다. 따라서 상위 타입으로만 변경하는 업캐스팅은 메모리 상에 인스턴스가 모두 존재하기 때문에 캐스팅을 생략할 수 있다.
하지만 다운 캐스팅의 경우, 인스턴스에 존재하지 않는 하위 타입으로 캐스팅할 경우 컴파일 오류와 런타임 오류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개발자가 이런 문제를 인지하고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로 명시적으로 캐스팅을 해야한다.
컴파일 오류(compile error) vs 런타임 오류(runtime error)
다운 캐스팅 시 발생하는 컴파일 오류와 런타임 오류에 대해 확인하기 전에 먼저 이 두 오류 간 차이에 대해 정리해보자.
컴파일 오류는 변수명 오타, 잘못된 클래스 이름, 변수 이름 등 자바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전 컴파일 단계에서 발생하는 오류다. 그래서 오류지만 IDE에서 즉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고 좋은 오류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런타임 오류는 오류 이름대로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시점에 발생하는 오류다. 그래서 오류 중에서도 매우 안좋은 오류다. 왜냐하면 고객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중에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오류는 IDE에서 즉시 확인할 수 없다.
다운 캐스팅의 컴파일 오류와 런타임 오류
다운 캐스팅 시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다운 캐스팅 시도 시 오류 발생 경우를 확인하면 된다.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자식 클래스 타입의 참조 변수에 담을려고 할 때 발생한다. 왜냐하면 부모 클래스의 인스턴스에는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다운 캐스팅 시도 시 발생할 수 있는 컴파일 오류는 무엇이 있을까?
이 포스팅 시작 시 언급했던 4가지 경우 중 한 가지인 ‘부모 인스턴스를 자식 타입의 변수가 참조하는 경우’의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다.
|
|
그러면 Child child2 = new Parent();
코드에 빨간 밑줄이 생기면서 IDE에 아래 내용의 에러 내용이 생긴다.
|
|
이 또한 Parent
인스턴스에는 Child
인스턴스 내용이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에러다.
instanceof
그러면 다운 캐스팅 시 위 에러들을 피하기 위해서는 참조 변수가 내가 원하는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게 필요하다. 이럴 때 사용하는게 instanceof
다.
instanceof
를 사용하기 위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으며, boolean
값을 반환한다.
|
|
아래 예시 코드를 보자.
|
|
위 코드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다.
|
|
child1
참조 변수는Child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true
다. 그리고new Child()
도 당연히True
다.parent1
참조 변수는Parent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true
다. 그리고,new Parent()
도 당연히True
다.parent2
참조 변수는Parent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true
다.
아직 언급하지 않은 2가지가 있다. new Child() instanceof Parent
와 parent2 instanceof Child
다. 이 2가지의 출력 결과는 true
다.
Child
클래스는Parent
클래스를 상속받고 있고, 상속받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는 걸 확인했다.parent2
참조 변수는 타입이Parent
이지만Child
의 인스턴스 정보를 가지고 있는 걸 확인했다. 왜냐하면parent2
는Child
인스턴스의 참조값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instanceof
를 통해 상속하는 클래스의 인스턴스 정보를 확인 가능하다.
다형성과 메서드 오버라이딩
다형성을 이루는 이론에는 ‘다형적 참조’와 ‘메서드 오버라이딩’이 있다. 이번 단원에서 다루는 내용이 ‘메서드 오버라이딩’이다. 다형성과 메서드 오버라이딩에서 꼭 기억해야할 점은 오버라이딩된 메서드가 항상 우선권을 가진다 는 점이다.
오버라이딩(Overriding)은 단어의 의미처럼 기존 기능을 덮어 새로운 기능을 재정의하는 것이다. 이것이 다형성과 어떻게 연결되냐면 자식의 메서드를 정의할 때 부모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여 정의했고, 자식 인스턴스 참조값을 가지고 있는 부모 타입의 참조 변수를 생성한 후, 이 참조 변수로 오버라이딩된 메서드를 실행하면 부모 타입이어도 오버라이딩된 자식 메서드가 실행된다는 것이다.
그러면 코드를 통해 이 내용을 확인해보자.
부모 클래스
1 2 3 4 5
public class Parent { public void method() { System.out.println("I am a parent"); } }
자식 클래스
1 2 3 4 5 6 7
public class Child extends Parent { @Override public void method() { System.out.println("I am a child"); } }
인스턴스 생성
1 2 3 4 5 6 7 8 9
public class Chil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arent parent1 = new Parent(); parent1.introduce(); Parent parent2 = new Child(); parent2.introduce(); } }
실행 결과
|
|
실행 결과를 보면 parent1
를 통해 introduce
메서드를 실행할 때와 parent2
를 통해 introduce
를 실행한 결과가 다른 걸 확인할 수 있다. 위 결과를 통해서 생성된 인스턴스에 부모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자식의 메서드가 있다면 참조 변수가 부모 타입이어도 오버라이딩한 자식의 메서드가 실행된다는 걸 알 수 있다.
다형성 활용
이번 단원에서는 다형성의 두 가지 중요한 이론인 ‘다형적 참조’와 ‘메서드 오버라이딩’을 활용하여 리팩토링하자.
예시 코드로 4개의 클래스를 만들었다.
PotatoPizza
1 2 3 4 5 6 7 8
package pizza; public class PotatoPizza { public void addIngredient() { System.out.println("감자 재료를 추가합니다."); } }
SweetPotatoPizza
1 2 3 4 5 6 7 8
package pizza; public class SweetPotatoPizza { public void addIngredient() { System.out.println("고구마 무스 재료를 추가합니다."); } }
AllMeatPizza
1 2 3 4 5 6 7 8
package pizza; public class AllMeatPizza { public void addIngredient() { System.out.println("고기 6종류 재료를 추가합니다."); } }
BaconCheddarCheesePizza
1 2 3 4 5 6 7 8
package pizza; public class BaconCheddarCheesePizza { public void addIngredient() { System.out.println("베이컨과 체다 치즈를 추가합니다."); } }
그리고 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한 후, 메인 재료를 추가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PizzaMain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package pizza; public class Pizz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otatoPizza potatoPizza = new PotatoPizza(); SweetPotatoPizza sweetPotatoPizza = new SweetPotatoPizza(); BaconCheddarCheesePizza baconCheddarCheesePizza = new BaconCheddarCheesePizza(); AllMeatPizza allMeatPizza = new AllMeatPizza(); potatoPizza.addIngredient(); sweetPotatoPizza.addIngredient(); baconCheddarCheesePizza.addIngredient(); allMeatPizza.addIngredient(); } }
실행 결과
1 2 3 4
감자 재료를 추가합니다. 고구마 무스 재료를 추가합니다. 베이컨과 체다 치즈를 추가합니다. 고기 6종류 재료를 추가합니다.
하지만 각 피자마다 새로운 피자를 만든다는 작업 안내와 종료 안내를 하고 싶다. .ingredient()
메서드를 실행하기 전과 후 출력문을 추가한다.
|
|
위 코드는 계속 반복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반복을 줄이기 위해서 어떤 방법들을 사용할 수 있을까?
addIngredient()
에 시작 및 종료 가이드문을 추가한다.- 위 인스턴스들을 매개변수로 받으면서, 시작 및 종료 가이드문까지 포함하는 새로운 메서드를 생성한다.
- 인스턴스들을 한 배열에 담아 반복문을 통해 호출한다.
1번 방법의 경우, addIngredient()
메서드의 역할을 넘어버리기 때문에 1번 방법은 제외한다. 그러면 2번과 3번 방법만을 생각할 수 밖에 없는데, 매개변수를 선언할 때 이 매개변수의 타입을 어떻게 해야하며, 배열 선언 시에도 타입을 어떻게 해야할까? 위 피자 종류들의 타입은 다 다르기 때문에 현재 코드로는 불가능하다. 코드로 확인해보자.
|
|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그 이유는 타입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는 다른 피자 타입도 마찬가지다.
|
|
이렇게 타입이 다른 것들을 하나의 타입으로 취급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을 때 ‘다형적 참조’를 사용하면 된다.
위 클래스들을 자식 클래스로 만들도록 부모 클래스 Pizza
를 만들어보자.
|
|
그러면 자식 클래스로 만들기 위해 예를 들어 PotatoPizza
만 예시로 나타낸다. extends
예약어를 사용하여 Pizza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고, @Override
를 사용해서 부모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다. 다른 피자 타입들도 상속받는다.
|
|
그러면 makeNewPizza
메서드의 파라미터 타입을 Pizza
로 수정하여 다음과 같이 코드 반복을 줄여보자.
수정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package pizza; public class Pizz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makeNewPizza(potatoPizza); makeNewPizza(sweetPotatoPizza); makeNewPizza(baconCheddarCheesePizza); makeNewPizza(allMeatPizza); } public static void makeNewPizza(Pizza pizza) { // 매개변수 타입 수정 System.out.println("새로운 피자를 만듭니다."); pizza.addIngredient(); System.out.println("새로운 피자를 만들었습니다."); } }
실행 결과
1 2 3 4 5 6 7
새로운 피자를 만듭니다. 감자 재료를 추가합니다. 새로운 피자를 만들었습니다. ... 새로운 피자를 만듭니다. 고기 6종류 재료를 추가합니다. 새로운 피자를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2번 방법을 적용했다. 다음으로 3번 방법인 배열을 적용해보자. 배열도 선언 시 타입을 입력해야하기 때문에 파이썬의 리스트와 달리 동일한 타입들로만 담을 수 있다.
|
|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반복횟수가 줄어들고, 가독성이 더 향상된 걸 확인할 수 있다!
다형적 참조
다형성의 두 가지 특징인 ‘다형적 참조’와 ‘메서드 오버라이딩’ 관점에서 위 코드를 다시 봐보자.
다음과 같은 타입과 변수명으로 참조변수를 만들었다.
PotatoPizza potatoPizza
SweetPotatoPizza sweetPotatoPizza
BaconCheddarCheesePizza baconCheddarCheesePizza
AllMeatPizza allMeatPizza
다 타입이 다르기 때문에 배열을 선언하거나 메서드에서 매개변수로 객체를 받기가 어려웠다.
하지만 Pizza
부모 클래스를 만들어 상속으로 다음과 같이 부모 클래스 타입의 배열 선언과, 부모 클래스 타입의 매개변수로 전달할 수 있다.
배열 선언
1
Pizza[] pizzaList = {potatoPizza, sweetPotatoPizza ...};
매개변수로 전달
1 2 3 4 5 6 7 8
makeNewPizza(potatoPizza); makeNewPizza(sweetPotatoPizza); ... public static void makeNewPizza(Pizza pizza) { //매개변수 pizza의 타입을 Pizza로 지정 ... }
메서드 오버라이딩
메서드 오버라이딩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Pizza
타입인 메서드의 매개변수는 Pizza
의 addIngredient()
가 실행될 것이다. 여기에는 메서드 바디가 없기 때문에 출력될 내용이 없다. 하지만 메서드 오버라이딩을 사용하여 타입은 Pizza
인 pizza
매개변수를 통해 pizza.addIngredient()
가 실행되었지만, 자식 클래스들의 오버라이딩된 메서드가 실행되어 각 자식 클래스만의 고유한 특징이 반영되서 실행된 걸 확인할 수 있다.
|
|
Enhanced For Loop에도 사용
또한 다형성과 상관없는 것이지만 Enhanced For Loop
에도 지역변수 타입으로 Pizza
를 지정하여 pizzaList
에 있는 변수들이 사실 Pizza
타입이 아니어도 Pizza
를 상속받는 자식 타입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
|
문제점 두 가지
첫 번째, 추상적인 개념에 불과한
Pizza
클래스로 인스턴스 생성이 가능해 누군가 실수로new
키워드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걸 막을 수 없다.
내가 정의한 Pizza
는 실제로 존재하는 물체가 아닌 ‘추상적인 개념’에 불과하다. 실제로 존재하는 건 베이컨 피자, 고구마 피자 등등이다. 더 예시를 들자면 Animal
이라는 클래스를 만들었다고 하자. 이 동물 클래스는 실체로 존재하는 게 아닌 추상적인 개념으로만 존재한다. 실체는 이 동물의 예시인 개, 고양이, 소다. 그런데 이 Animal
로 실제로 존재하는 인스턴스를 생성한다면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메모리만 낭비하게 된다.
두 번째, 부모 클래스를 오버라이딩 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부모 메서드를 반드시 오버라이딩 해야 하는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실수로 오버라이딩하지 않을 경우, @Override
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모의 메서드가 호출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추상 클래스
위 두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 ‘추상 클래스(abstract class)‘다. 추상적인 개념만 제공하기 때문에 실체인 인스턴스가 존재하지 않고, 오직 상속을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부모 클래스 역할을 한다. 그래서 반드시 오버라이딩해야 하는 메서드를 이 부모 클래스에 정의할 수 있다.
인스턴스 생성 불가능한 추상 클래스
만약 추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려 한다면 어떻게 되는지 아래 코드와 컴파일 에러를 확인해보자.
추상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하기
1 2 3 4 5 6 7 8 9
package pizza; public class Pizz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izza pizza = new Pizza(); // 추상 클래스의 인스턴스 생성 ... } }
컴파일 에러
1
'Pizza' is abstract; cannot be instantiated
추상 메서드
다음으로 추상 클래스 안에 정의된 메서드 중 abtract
키워드가 붙어 있는 메서드를 추상 메서드(abstract method) 라 한다. 추상 메서드는 메서드 바디를 가지고 있지 않고, 메서드 시그니처만 존재한다.
|
|
컴파일 에러: Abstract methods cannot have a body
이 추상 메서드에 위 코드와 달리 다음과 같이 메서드 바디를 만들 경우,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그래서 추상 메서드는 반드시 메서드 바디가 없어야 한다.
|
|
컴파일 에러
1
Abstract methods cannot have a body
컴파일 에러: 자식 클래스가 추상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지 않는 경우
또한, 이 추상 메서드는 메서드 바디가 없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에서 반드시 오버라이딩해야 한다. 오버라이딩을 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만약 추상 메서드와 다른 메서드 이름으로 자식 클래스에 선언할 경우 다음과 같은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또한, 추상 클래스를 상속받는 자식 클래스 내에 어떠한 메서드도 선언하지 않아도 동일한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
|
컴파일 에러
1
Class 'PotatoPizza' must either be declared abstract or implement abstract method 'addIngredient()' in 'Pizza'
위 상황에서 자식 메서드에 @Override
애노테이션을 추가하면 다음과 같은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컴파일 에러
1
Method does not override method from its superclass
그리고 추상 메서드를 사용한다면 굳이 @Override
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 같다.
컴파일 에러: 일반 클래스 안에 추상 메서드 선언하기
만약 아래 코드처럼 일반 클래스 안에 추상 메서드를 선언하면 다음 에러가 발생한다.
일반 클래스 안에 추상 메서드 선언
1 2 3 4
public class Pizza { public abstract void addIngredient(); }
컴파일 에러
1
Abstract method in non-abstract class
추상 클래스와 추상 메서드 필수 사항 정리
위 내용들을 정리하면 추상 클래스를 만들 때는 반드시 수행해야하는 규칙 3가지가 있다.
- 추상 클래스, 추상 메서드를 정의할 때 ‘추상’이 들어가는 뭐든지
abstract
키워드를 붙여야 한다. - 추상 메서드가 하나라도 있는 클래스는 추상 클래스로 선언해야 한다.
- 추상 메서드는 메서드 바디가 없는 메서드로, 불완전한 메서드다.
- 추상 클래스에는 추상 메서드와 추상이 아닌 메서드 모두 존재할 수 있다.
- 추상 메서드는 메서드 바디가 없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가 반드시 오버라이딩해서 사용해야 한다.
위 사항들을 지키지 않으면 앞선 에러 코드 사례처럼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
순수 추상 클래스
위 코드들에서는 추상 메서드가 하나인 경우만을 확인했다. 이번에는 모든 메서드가 추상 메서드인 ‘순수 추상 클래스’ 경우를 확인해보자.
|
|
이 Pizza
추상 클래스를 상속받는 자식 클래스는 부모 메서드를 모두 오버라이딩해야 한다.
순수 추상 클래스의 특징
- 인스턴스 생성 불가능
- 상속 시 모든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해야 한다.
- 주로 다형성을 위해 사용된다.
인터페이스
하지만, 자바에서는 이 순수 추상 클래스를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라는 개념을 제공한다. ‘인터페이스’는 클래스명 앞에 예약어로 abstract class
가 아니라 interface
키워드를 사용하면 된다.
메서드는 public abstract
키워드를 생략할 수 있다.
|
|
인터페이스는 위 순수 추상 클래스의 특징에 몇 가지 편의 기능이 추가된다.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는 모두
public
,abstract
이다. 즉 모두 추상 메서드다. - 메서드는
public abstract
를 생략할 수 있다. 생략이 권장된다. - 인터페이스는 다중 상속(구현)을 지원한다.
클래스, 추상 클래스, 인터페이스는 프로그램 코드, 메모리 구조상 모두 동일하다.
인터페이스는 상속이 아닌 구현이라 한다.
부모 자식 관계에 있는 클래스들을 설명할 때는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는 클래스를 자식 클래스라고 한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라면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라고 한다. ‘상속’이라는 단어 대신 ‘구현’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상속은 이름 그대로 부모의 기능을 물려받는 것이 목적이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는 모든 메서드가 추상 메서드이기 때문에, 물려받을 수 있는 기능이 없고, 오히려 모든 메서드를 자식이 오버라이딩해서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인터페이스는 메서드 이름만 있는 설계도이고, 이 설계도를 토대로 하위 클래스에서 구현해야 한다.
그래서 보면 ‘상속’과 ‘구현’ 단어만 다를 뿐 일반 상속 구조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인터페이스의 구현
그래서 부모 자식 관계에 있는 클래스를 규정 짓는 예약어는 extends
였지만,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 관계를 규정 짓는 예약어는 implements
다.
Pizza
인터페이스1 2 3 4 5 6 7
package pizza; public interface InterfacePizza { public abstract void addIngredient(); public abstract void bake(); }
PotatoPizz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package pizza; public class PotatoPizza implements InterfacePizza { public void addIngredient() { System.out.println("감자 재료를 추가합니다."); } @Override public void bake() { System.out.println("피자를 굽습니다."); } }
그리고 인터페이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려고 한다면?
PizzaMain
클래스1 2 3 4 5 6 7 8
package pizza; public class Pizz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erfacePizza interfacePizza = new InterfacePizza(); } }
컴파일 에러
1
'InterfacePizza' is abstract; cannot be instantiated
위와 같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하고,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한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추상 클래스는 추상 메서드가 아닌 메서드도 존재할 수 있으므로 나중에 메서드를 끼어넣을 수 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에 있는 모든 메서드는 추상 메서드이기 때문에, 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들은 반드시 추상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해야 하는 강제성을 부여한다(제약). (첫 번째 이유)
그리고, 자바에서는 부모 클래스로 하나만 가질 수 있지만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부모를 다중 구현(다중 상속)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는 다중 상속을 허용하는 이유는 모두 다 추상 메서드이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가 아닌 클래스이고, 다중 상속되는 상황이고, 두 부모 클래스 모두 각각 동일한 메서드 시그니처를 가진다면 상속 받는 자식 클래스는 어떤 것을 상속받는 것일지 결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클래스 계층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기 때문에, 클래스의 다중 상속을 허용하지 않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는 모두 다 메서드 바디가 없기 때문에 어떤 인터페이스의 메서드를 구현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두 번째 이유)
파이썬에서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고, 여러 개의 클래스를 다중 상속 가능하다.
다중 구현 예시
그러면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 두 번째 장점인 ‘다중 구현’에 대해 알아보자!
InterfaceA
인터페이스1 2 3 4
public interface InterfaceA { void methodA(); void methodCommon(); }
InterfaceB
인터페이스1 2 3 4
public interface InterfaceB { void methodB(); void methodCommon(); }
위 코드를 보면 interface
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이 안에 정의한 메서드들은 다 추상 메서드 이므로 public abstract
는 생략한다.
Child
클래스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public class Child implements InterfaceA, InterfaceB{ @Override public void methodA() { System.out.println("Child.methodA"); } @Override public void methodB() { System.out.println("Child.methodB"); } @Override public void methodCommon() { System.out.println("methodCommon"); } }
인터페이스이므로 다중 구현이 가능하다.
ChildMain
클래스1 2 3 4 5 6 7 8 9 10 11
public class Chil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erfaceA interfaceA = new Child(); interfaceA.methodA(); interfaceA.methodCommon(); InterfaceB interfaceB = new Child(); interfaceB.methodB(); interfaceB.methodCommon(); } }
인터페이스 또한 생성된 인스턴스 안에 정보가 생성되기 때문에 자식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인터페이스 타입으로 지정할 수 있다.
실행 결과
1 2 3 4
Child.methodA methodCommon Child.methodB methodCommon
그리고 인터페이스 안에 정의한 추상 메서드들 모두 오버라이딩 되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출력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와 추상 클래스 함께 사용하기
AbstractAnimal
추상 클래스1 2 3 4 5 6
public abstract class AbstractAnimal { public abstract void sound(); public void move() { System.out.println("동물이 이동합니다."); } }
Fly
인터페이스1 2 3
public interface Fly { void fly(); }
Cat
자식 클래스: 추상 클래스만 받음1 2 3 4 5 6 7
public class Cat extends AbstractAnimal{ @Override public void sound() { System.out.println("냐옹~"); } }
Crow
자식 클래스: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 모두 받음1 2 3 4 5 6 7 8 9 10 11
public class Crow extends AbstractAnimal implements Fly{ @Override public void sound() { System.out.println("까악 까악"); } @Override public void fly() { System.out.println("날개짓"); } }
AnimalMain
: 자식 클래스들의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메서드를 추가로 만들어 메서드 매개변수 타입을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로 지정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public class Animal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at cat = new Cat(); Crow crow = new Crow(); soundAnimal(cat); soundAnimal(crow); flyAnimal(crow); } public static void soundAnimal(AbstractAnimal animal) { System.out.println("===== Enter in soundAnimal ====="); animal.sound(); } public static void flyAnimal(Fly animal) { System.out.println("===== Enter in flyAnimal ====="); animal.fly(); } }
실행 결과
1 2 3 4 5 6
===== Enter in soundAnimal ===== 냐옹~ ===== Enter in soundAnimal ===== 까악 까악 ===== Enter in flyAnimal ===== 날개짓
위 실행 결과를 보면 매개변수의 타입은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지만, 메서드 오버라이딩으로 인스턴스의 메서드가 실행되는 걸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