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estion 1 라우팅에 들어가는 함수를 async def 로 비동기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과 그냥 def 라고 만들어서 쓰는것의 차이가 궁금힙니다. 이렇게 쓴다는건 db도 asyncSession으로 되있는걸로 사용할텐데 이걸로 하면 장점이 무엇인가요? 속도차이가 많이 나나요? Answer 1 def 을 쓰면, 요청마다 쓰레드를 만드니, 멀티 쓰레딩에 대한 오버헤드가 나고 async def을 쓰면, 이벤트 루프 하나에 코루틴으로 핸들러를 등록하니, 멀티 쓰레딩에서 일어나는 오버헤드가 없습니다. https://fastapi.tiangolo.com/async/#asynchronous-code 속도 차이가 많이 나느냐 -> 요거는 실제로 async, sync로 만들고 프로덕션 서비스에서 테스트 해보신 분들이 답변해주실텐데, 보통 그렇다고들 합니다....

%!s() · Me

models.py에서 Field로 선언되는 것들은 각 인스턴스 간에 값이 공유되는 클래스 변수가 아니라, 클래스 공간에 선언되는 디스크립터(Descriptor) 객체다. Email model 관련 질문 authentication_check 는 인증 여부에 대한 속성값인데, pocket에서 인증하는게 있는가? email의 EmailField에는 max_length 값이 이미 내장되어 있는데, 굳이 max_length를 입력할 필요가 있을까? User model 관련 질문 upload_to=f"profile/“에서 f-string을 쓴 이유: 기억이 안나서 다시 여쭤봅니다. password 속성에서 max_length = 15에서 128로 왜 수정했는지? USERNAME_FIELD 를 ‘password’로 수정한 이유 Site model 관련 질문 thumbnail_url에서 max_length로 2000을 한 이유 url = models....

%!s() ·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