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본 출력
1.1 Escape 코드
|
|
1.2 기본 출력
- ’’ 또는 "" 를 자주 사용한다.
|
|
-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1.3 Separator 옵션
- 여러 data를 열거하여 출력할 때, 각 data 사이 사이를 분리할 string을 입력할 수 있다.
|
|
1.4 End 옵션
- print에는 자동적으로 행간을 나누는 기능이 있다.
- 이를 end를 통해서 합칠 수 있다.
|
|
2. String 문자열 출력 (s)
formatting으로 특정 케이스에 원하는 형식대로 출력할 수 있고, 가독성이 높아진다.
- d는 정수, s는 string, f는 실수를 의미한다.
' % ' % ()
로 formatting 하는 방법과' {} '.format()
을 사용해서 formatting하는 방법이 있다.- 다 익숙해져야 하지만, 후자를 더 빈번히 사용한다.
|
|
- 전체 자릿수를 지정하는 방법과 정렬 방향을 바꾸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
|
- 위 내용을
.format
으로 표현해보자. .format
은 string을 입력할 때 ’s’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
|
- 그러면 지정한 자릿수보다 문자열이 더 길다면??
|
|
- 지정한 자릿수를 넘는 문자열 부분들을 절삭하고 싶다면??
|
|
결론
- print(’%-n1.n2s’ % (‘출력하기 원하는 문자열’))
- n1은 전체 자릿수
- n2는 출력되길 원하는 문자열의 총 자리수를 의미
- ‘-‘는 정렬 방향을 역으로 한다.
- 정렬 방향 default는 오른쪽, (-)는 왼쪽 정렬을 의미
- print(’{:^ > < n1.n2}’.format(‘string’))
- n1은 전체 자릿수
- n2는 출력되길 원하는 문자열의 총 자리수를 의미
- ‘^’ 는 가운데 정렬
- ‘>‘은 오른쪽 정렬, ‘<’ 는 왼쪽 정렬을 의미
.format
은s
를 입력하지 않는다.
3. Integer 정수형 출력 (d)
.format
은 문자열s
는 입력하지 않는다.- 정수형
d
ori
, 실수형f
은 입력한다.
|
|
결론
print(’%-n1d’ % (integer))
- n1은 전체 자릿수
- ‘-‘는 정렬 방향을 역으로 한다.
- 정렬 방향 default는 오른쪽, (-)는 왼쪽 정렬을 의미
print(’{:^ > < n1d}’.format(integer))
- n1은 전체 자릿수
- ‘^’ 는 가운데 정렬
- default와 ‘>‘은 오른쪽 정렬, ‘<’ 는 왼쪽 정렬을 의미
4. Float 실수형 출력 (f)
|
|
결론
print(’%n1.n2f’ % ())
print(’{:n1.n2f}’.format())
- n1 은 전체 자릿수로서, 소수점을 포함한다.
- n2는 소수점 자리를 말한다.
- n1 앞에 0이 붙으면 정수 부분에서 비어있는 자리수는 0으로 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