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Introduction

  • HTTP 학습내용의 기본 출처: 김영한님의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지식 이다.

  •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과 모르는 부분에 대한 추가 내용을 합쳐 올린다.

  • 이 강의는 HTTP에 대한 웹 기본지식을 설명하는 강의이므로, 내용이 간략할 수 있다.

  • 학습 이유: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웹 개발을 배우기 전에, HTTP에 대해 기본적인 지식을 알고자 HTTP 공부를 시작한다. 이 강의에 대해 공부 후, 네트워크 전반에 대해 공부한다.

 


1. 모든 것이 HTTP

1.1 HTTP란? (지금은 HTTP 시대!)

: 링크를 통해 HTML 같은 문서를 연결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제는 문서 뿐만 아니라 HTTP 메세지에 모든 것을 전송한다.

  • HTML, TEXT
  • IMAGE, 음성, 영상, 파일
  • JSON, XML (API)
  • 거의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전송 가능하다.
  • 서버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도 대부분 HTTP를 사용한다.

 

1.2 HTTP 역사 (HTTP/1.1을 기준으로 학습)

  •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버전
    • HTTP 강의는 이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 RFC2068 (1997) -> RFC2616 (1999) -> RFC7230~7235 (2014)
    • 현재는 RFC7230 버전부터 본다.
  • HTTP/2 2015년: 성능 개선
  • HTTP/3 진행중: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1.3 기반 프로토콜

  • TCP 기반으로 작동하는 프로토콜은 HTTP/1.1, HTTP/2 다.
  • UDP 기반으로 작동하는 프로토콜은 HTTP/3 다.
    • 기본적으로 HTTP/1.1에서 개선된 것이므로 우리는 HTTP/1.1을 공부한다.
  • 현재 HTTP/1.1 주로 사용한다.
    • HTTP/2, HTTP/3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HTTP/3가 UDP 기반인 이유]
기본 TCP는 3 way handshake로 신뢰성이나 연결성이 보장되지만, 속도가 떨어진다. 그래서 UDP를 애플리케이션 레벨에서 재설계되어 나온게 HTTP/3다.

 

  • 사이트에서 기반 프로토콜을 확인하려면 검사(F12)에 들어가 Network tab을 클릭 한다.
  • 하단에 Name tab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여 Protocol을 체크한다.
  • h3는 http/3 고, h2는 http/2 를 의미한다.
  • 구글은 h3를 사용하고, 네이버는 h2를 사용한다.

image

image

 

1.4 HTTP 특징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연결성
  • HTTP 메시지
  • 단순함, 확장 가능
    • HTTP는 단순하고, 스펙도 읽어볼만 하다.
    • HTTP 메시지도 매우 단순하다.
    • 크게 성공하는 표준 기술의 하나의 예로, 단순하지만 확장 가능한 기술이다.

각 특징들에 대해 알아보자.

 


2.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

  •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구조로 되어있다.

  • 클라이언트는 HTTP 메세지를 만들어서 서버에 요청(request)을 보낸 후, 서버로부터 응답(response)이 올 때까지 기다린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온 요청(request)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서 응답(response)한다.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가 중요한 이유]

    • 독립적 구조 -> 각자의 역할에 집중
    • 옛날에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분리되어 있지 않고, 합쳐져 있었다. 그후 비지니스 로직과 데이터는 서버가 담당하여 집중하고, 클라이언트는 UI 사용성에 집중했다.
    • 이로 인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각각 독립적으로 진화할 수 있었다.

3. Stateful, Stateless

3.1 Stateful

‘Stateful’ 이란??

‘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보존(기억)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서버가 항상 같은 서버로 유지 되어야 하는 상태를 말한다.

‘Stateful(상태 유지)‘의 문제점은 무엇일까??

서버가 멈추거나 하는 여러 이유로 해당 서버를 쓸 수가 없는 상황이 발생했다. 다른 서버를 이용해야 한다. 이런 경우, 새로운 서버에서 이전 서버에 가지고 있던 상태값들을 가지고 있지 않아 에러가 발생된다.

  • 예시: 고객을 클라이언트, 점원을 서버라고 생각하자.

    • 서버가 문제 없이 유지되는 경우
    1
    2
    3
    4
    5
    6
    7
    8
    9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점원: 100만원 입니다. (노트북 상태 유지)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노트북, 2개 상태 유지)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노트북, 2개, 신용카드 상태 유지)
    
    • 서버가 바뀔 경우
    1
    2
    3
    4
    5
    6
    7
    8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점원 A: 100만원 입니다.
    
      고객: `2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B: ? 무엇을 2개 구매하시겠어요? (상태유지 X)
    
      고객: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C: ? 무슨 제품을 몇 개 신용카드로 구매하시겠어요? (상태 유지 X)
    

한 서버에서만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하기 때문에, 서버가 변경되면 기존 서버에 저장된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기억하지 못하여 에러가 발생했다. 그래서 항상 같은 서버로 유지 되어야 한다.

 


3.2 Stateless

Stateless 란??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이전 상태를 보존(기억)하지 않고, 클라이언트가 요청할 때마다 매번 모든 상태 값들을 전달 하기 때문에, 서버 변경이 용이 하다.

예시

고객을 클라이언트, 점원을 서버라고 생각하자.

  • 서버가 문제 없이 유지되는 경우

    1
    2
    3
    4
    5
    6
    7
    8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점원: 100만원 입니다.
    
      고객: `노트북 2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노트북 2개는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고객: `노트북 2개`를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 서버가 바뀔 경우

    1
    2
    3
    4
    5
    6
    7
    8
    
      고객: 이 '노트북' 얼마인가요?
      점원A: 100만원 입니다.
    
      고객: '노트북 2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B: 노트북 2개는 200만원 입니다. 신용카드, 현금중에 어떤 걸로 구매 하시겠어요?
    
      고객: '노트북 2개'를 '신용카드'로 구매하겠습니다.
      점원C: 200만원 결제 완료되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모든 상태 값을 서버에 전달하기 때문에, 서버가 중간에 바뀌어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항상 같은 서버로 유지될 필요없다. 그래서 서버 변경이 용이하기 때문에, stateless무한한 서버 증설이 가능하다.

무한한 서버 증설로 인한 이점

그러면 서버 증설이 무한히 가능하다면 어떤 이점이 있을까???

같은 기능을 하는 서버들 안에서 서버의 수평 확장(scale out) 에 유리하다.

image

🔆 stateless의 한계와 실무 방식

좋은 이점들이 많지만 실무 한계가 존재하여, 모든 것을 stateless(무상태) 로 할 수 없다 실무 한계가 존재한다.

  • 무상태 예시: 로그인이 필요 없는 단순한 서비스 소개 화면
  • 상태 유지 예시: 로그인
    • 로그인한 사용자의 경우, 로그인 했다는 상태를 서버에 유지해야 한다.
    • 일반적으로 브라우저 쿠키와 서버 세션 등을 사용해서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상태유지는 최소한만 사용하고, 최대한 무상태로 서버를 설계한다.

❗️ 수평 확장(scale out)과 수직 확장(scale up)의 차이: 스케일 아웃과 스케일 업

 

3.3 🔆 정리

  • Stateful (상태유지): 중간에 서버가 변경되면 안된다.

    • 만약 서버가 변경되야 한다면 상태 정보를 전부 다른 서버에게 미리 알려줘야 한다.
  • Stateless (무상태): 중간에 서버가 바뀌어도 된다.

    • 그래서 서버는 수평적 확장에 유리한다. (scale out)
    • 하지만 모든 것을 무상태로 할 수 없기 때문에, 무상태로 서버를 최대한 설계하며, 상태 유지로 서버를 최소한 설계한다.

 


4. 비연결성 (connectionless)

4.1 연결을 유지하는 모델

image

  • TCP/IP 연결로 새로운 클라이언트와 연결하면서 이전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을 유지한다.
  • 연결된 클라이언트가 놀고 있어도 서버가 유지해야 하는게 단점이다.
  • 왜냐하면 서버의 자원이 연결을 유지하는데 계속 소모 되기 때문이다.

 

4.2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 (비연결성)

image

  • TCP/IP 연결 후,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단 하나의 요청 응답 흐름이 끝나면 연결을 바로 종료한다.
  • 그리고 다른 클라이언트와 연결 시, 이전 클라이언트와의 연결은 유지하지 않는다.
  • 즉, 서버는 연결 유지를 하지 않아 최소한의 자원만 사용 할 수 있다.

 

HTTP의 비연결성 장점

  • HTTP는 기본이 연결을 유지하지 않는 모델이고,
  • 일반적으로 초 단위 이하의 빠른 속도로 응답한다.
  • 그래서 1시간 동안 수천명이 서비스를 사용해도 실제 서버에서 동시에 처리하는 요청은 수십개 이하로 매우 적다.
    • 예) 웹 브라우저에서 계속 연속해서 검색 버튼을 누르지 않는다.
  • 즉, 서버 자원을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연결성의 단점과 해결 방법

  • 단점
    • TCP/IP 연결을 새로 맺어야 하기 때문에, 3 way handshake 시간이 추가된다.
    • 웹 브라우저로 사이트를 요청하면 HTML 뿐만 아니라 JavaScript, css, 추가 이미지 등 수많은 자원이 함께 다운로드된다.
  • 해결 방법
    • 지금은 HTTP 지속 연결(Persistent Connections)로 문제 해결했다.
    • HTTP/2 와 HTTP/3에서 더 많은 최적화를 한다.

 

4.3 HTTP 지속 연결: 비연결성의 한계 해결 방법

비연결성의 한계를 해결한 방법인 HTTP 지속 연결에 대해 알아보자.

HTTP 초기에는 모든 자료에 대해서 비연결성으로 ‘연결 -> 응답 -> 종료’ 를 반복하여, 시간이 대략적으로 1초 가량 소모되었다고 한다.

아래 이미지를 참조하자.

image

 

그러면 HTTP 지속 연결로 어떻게 변했을까??

image

클라이언트는 서버와 연결을 한 다음, 필요한 자원들을 모두 다운받을 때까지 요청/응답이 반복된 뒤 종료된다.

또한, HTTP/2,3으로 오면서 더 빨라졌다. 특히, HTTP 3으로 오면서 UDP를 사용하여 연결 속도 자체도 줄어들었다.

 

4.4 🔆 실무에서 HTTP 지속 연결하는 경우

실무 상황에서 특정 시간에 발생하는 대용량 트래픽의 경우, 수만명이 동시 요청하기 때문에 무상태와 HTTP 지속 연결로 서버를 설계해야 대응할 수 있는 부분이 매우 많아진다.

  • 예) 선착순 이벤트, 명절 KTX 예약, 학과 수업 등록, 선착순 할인 이벤트

 


5. HTTP 메시지

  • HTTP 메시지 구조를 알아보자.
    • 공백 라인은 아래 순서로, 필수로 존재해야 한다.

image

 

5.1 시작 라인(start line)

  • start line은 요청 메시지와 응답 메시지 로 나눠진다.

  • start line = request - line (요청 메시지) / status - line (응답 메시지)

    • request-line = method SP(공백) request-target SP HTTP-version CRLF(엔터)
    • status-line = HTTP-version SP status-code SP reason-phrase CRLF

5.1.1 요청 메시지

image

  • start line = request - line (요청 메시지) / status - line (응답 메시지)

    • request-line = method SP(공백) request-target SP HTTP-version CRLF(엔터)

    • HTTP method (GET /search?q=hello&hl=ko HTTP/1.1)

      • 종류: GET, POST, PUT, DELETE …
      • 서버가 수행해야 할 동작 지정
        • GET: 리소스 조회 / POST: 요청 내역 처리
    • request-target (GET /search?q=hello&hl=ko HTTP/1.1)

      • absolute-path[?query] (절대경로[?쿼리])
      • 절대경로= “/” 로 시작하는 경로
      • 참고: *, http://...?x=y 와 같이 다른 유형의 경로지정 방법도 있다.
    • HTTP verison (GET /search?q=hello&hl=ko HTTP/1.1)

 

5.1.2 응답 메시지

image

  • start line = request - line (요청 메시지) / status - line (응답 메시지)
    • status-line = HTTP-version SP status-code SP reason-phrase CRLF
    • HTTP version
    • HTTP 상태 코드: 요청 성공, 실패를 나타냄
      • 200: 성공
      • 400: 클라이언트 요청 오류
      • 500: 서버 내부 오류
    • 이유 문구: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짧은 상태 코드 설명 글

 

5.2 HTTP header

header - field = field - name “:” OWS field - value OWS
(OWS: 띄어쓰기 허용)

  • field - name: 대소문자 구분 없음
  • field - value: 대소문자 구문 있음
  • 용도
    • HTTP 전송에 필요한 모든 부가정보가 담겨져 있다.
      • 예) 메시지 바디의 내용, 크기, 압축, 인증
      • 예) 요청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정보, 서버 애플리케이션 정보, 캐시 관리 정보
    • 표준 헤더가 너무 많다.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HTTP_header_fields)
    • 필요한 경우, 임의의 헤더 추가 가능

 

5.3 HTTP message body

  • 실제 전송할 데이터
  • HTML 문서, 이미지, 영상, JSON 등등 byte로 표현할 수 있는 모든 데이터 전송 가능

 


HTTP 정리

  • HTTP 메시지에 모든 것을 전송한다.
  • HTTP 역사: HTTP/1.1을 기준으로 학습한다.
  • 클라이언트 서버 구조이다.
  •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다.
  • HTTP 메시지
  • 단순하며 확장 가능하다.
  • 지금은 HTTP 시대다.

Reference